경기도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도의 시내버스는 광역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일반좌석버스, 도시형버스 등으로 구분되며, 마을버스도 포함된다. 2006년 경기버스 브랜드 통합 이후, 2015년 2층 버스 도입, 2020년 공공버스 신설 등 변화를 겪었다. 운임은 종류 및 거리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수도권 통합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경기도는 시내버스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버스 내 G BUS TV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경기도의 시내버스 | |
---|---|
개요 | |
![]() | |
관리 기관 | 경기도청 대중교통과 |
차적지 | 경기도 |
운행 지역 |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홍천군, 원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당진시 충청북도 음성군, 진천군 |
노선 수 | 2,068개 |
인가 대수 | 17,131대 |
웹사이트 | 지금 G버스 (경기도청)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
2. 노선 종류
- 광역급행버스
- 직행좌석버스
- * 경기도 공공버스: 2020년 3월 1일 경기도가 기존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준공영제로 전환하며 신설했다. 노선 번호 앞에 G가 붙은 노선은 급행 노선이다. 2021년 8월 1일부로 기존의 간선급행버스와 굿모닝 급행버스 노선들이 모두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되었다.
- * 간선급행버스: 기존 직행좌석버스의 정차 정류장 수를 줄여 운행 시간을 단축할 목적으로 2008년 9월에 신설되었다. 2021년 8월 1일부로 모든 노선이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되어 현재는 이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간선급행버스체계(BRT)와는 이름만 유사할 뿐 직접적인 관련성은 크지 않다.
- * 경기순환버스: 2010년 8월 23일 경기도가 경기순환버스를 신설했다. 간선급행버스의 일부로 취급되었으며,[4] 현재 6개 노선(8106번, 8109번[5], 8401번[6], 8407번, 8409번[7], 8906번[8])이 운행 중이다.
- * 굿모닝 급행버스: 주요 거점 정류장만을 정차하여 경기도와 서울을 빠르게 연결하는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2016년 10월 15일 김포시에서 G6000번이 처음 개통되었으나,[9] 2021년 8월 1일부로 모든 노선이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되면서 현재는 이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 * 경기 프리미엄버스: 프리미엄 고속버스 차량을 이용하여 경기도와 서울특별시 간의 편리한 이동을 위해 2020년 11월 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광역급행버스의 한 종류이다. 도입되는 차량에는 경기 프리미엄버스 전용 도색이 적용된다.
- 일반좌석버스
- 도시형버스
- * 맞춤형버스: 대중교통 이용이 불편한 지역 주민들을 위해 수요에 맞춰 운행하는 버스이다. 2015년 8월 13일 파주시에서 처음 시작되어 경기도 내 여러 시군으로 확대 운영되고 있다.
- 마을버스: 법적으로는 시내버스에 속하지 않지만, 요금 체계의 차이를 제외하면 실제 이용객 입장에서는 시내버스와 거의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차량의 등급이 노선 종류에 따라 엄격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이용객 수요가 많거나 운수업체 간 경쟁이 심한 노선에는 해당 노선 등급보다 높은 등급의 버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고급 차량이 투입되기도 하며, 반대로 수요가 적거나 특정 조건에 따라 낮은 등급의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도 있다.
3. 운임
경기도의 시내버스는 대한민국 여객자동차 운송사업법에 따른 무임 운송 대상 외에도, 보호자와 함께 타는 만 6세 미만 어린이 세 명까지는 운임 없이 탑승할 수 있다.
연령에 따른 운임 구분은 다음과 같다.
- '''어른''': 만 19세 이상
- '''청소년''': 만 13세 ~ 만 18세
- '''어린이''': 만 6세 ~ 만 12세
자세한 기본 운임 및 거리별 운임 체계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기본 운임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 수도권 통합운임제가 적용되어[1] 서울, 경기, 인천 간에는 자유롭게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 같은 노선끼리는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다.
- 하차 시 교통 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하지 않으면 추가 운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차 시에도 반드시 태그하는 것이 권장된다.
- '''시외버스 중 번호가 부여된 노선은 경기버스정보시스템에서 실시간 위치 안내를 위해 임의로 번호를 붙인 것일 뿐, 수도권 통합운임제와는 관련이 없어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 경기순환버스는 직행좌석버스와 같은 도색을 사용하지만, 별도의 경기순환버스 운임 체계를 따른다.
- 경기도 차적의 광역급행버스는 국토교통부의 통합 운임 체계를 따른다.
- 마을버스는 각 지자체별로 운임이 다르다. 자세한 운임은 해당 시의 마을버스 문서를 참조해야 한다.
- 2017년 5월 27일부터 청소년 요금 할인율이 기존 성인 요금 대비 20%에서 30%로 확대되었다.[2]
3. 2. 거리별 운임
- 도시형 (시내일반), 마을버스는 10km까지 기본운임이 적용되며, 이후 초과 거리는 5km당 100원이 추가된다. 이는 좌석형버스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한다.
- 좌석형 버스(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는 30km까지 기본운임이 적용되고, 초과 거리는 5km당 100원이 추가된다. 이는 좌석형버스를 1회 이상 이용할 경우 적용되는 기준이다.
- 도시형버스의 거의 모든 노선, 경기순환버스 전체 노선,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 전체 노선은 거리비례형 구간운임제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하차 시 카드를 태그하지 않으면 다음 승차 시 최대 1100KRW이 추가로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 일부 도시형버스는 10km 이상을 운행하더라도 전 구간에 기본 운임만 부과하는 경우도 있다.
- 기존의 구간별 운임제는 한 노선의 구간을 여러 개로 나누어 법령에 정해진 범위 내에서 운임을 징수하였으나, 일반적으로 같은 시(市) 내의 구간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가 운임을 징수하지 않아 이동 거리에 따른 운임 형평성 문제가 있었다.
- 현재 시행 중인 거리별 운임제는 개별 정류장을 기준으로 구간을 세분화하여, 10km[3]를 초과하여 승차할 경우 5km마다 100원의 추가 운임이 붙는다. 같은 시(市) 내에서 이동하더라도 거리에 따라 추가 운임을 징수함으로써 거리 형평성 및 환승 수단에 따른 형평성 문제를 개선하였다. 1회 승차 시 최대 추가 운임은 700KRW으로 제한되지만, 환승하여 이동할 경우에는 실제 이동 거리에 따라 운임이 부과된다.
- 경기순환버스 노선 중 가장 운행 거리가 긴 구간은 8906번 버스의 덕정동 - 범계역 구간이며, 이 경우 기본 운임과 추가 운임을 합한 총 운임은 현금 기준으로 3000KRW이다.
- 이러한 거리별 운임 체계는 경기도뿐만 아니라 서울 및 인천 시내 구간만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4. 시내버스 위치정보 안내
- https://web.archive.org/web/20100209210539/http://www.gbis.go.kr/ 경기버스정보시스템 (GBIS) 웹사이트에서 경기도 시내버스, 마을버스, 시외버스 도착정보를 제공한다.
- 전화 1688-8031을 통해서도 시내버스 도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용 방법: 9 > 정류장 번호 > 노선 번호 #)
5. 2층 버스 운행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치 이후 경기도민의 서울 출퇴근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2층 버스 투입이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2014년 12월 김포시, 남양주시, 수원시 지역에서 2층 버스 시범 운행이 실시되었다.[10] 2015년 10월에는 김포시의 8601번 노선에 2층 버스가 대한민국 최초로 정식 투입되어 운행을 시작했으며,[11] 이후 경기도 내 여러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확대 투입되었다. 2층 버스는 일반 버스보다 높이가 높기 때문에, 육교나 터널 등을 통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기존 노선과 다른 경로로 운행하는 경우가 있다.
5. 1. 2층 버스 운행 노선 목록 (일부)
지역 |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비고 |
---|---|---|---|---|
구리시 | 1680번 | 갈매역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고양시 | 1000번 | 대화동 | 서울역 | |
광주시 | 1113-1번 | 동원대학교 | 강변역 | |
김포시 | 6427번 | 구래역 | 강남역 | |
7000번 | 김포 한강신도시 | 당산역 | ||
G6003번 | 김포(통진) | 당산역 | ||
7100번 | 구래리차고지 | 당산역 | ||
8600번 | 구래역 | 광화문 | ||
8601번 | 김포 마산역 | 당산역 - 마포역 - 광화문 | ||
남양주시 | 1001번 | 청학리 - 별내지구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1003번 | 다산신도시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1670번 | 덕소 | 잠실역 | ||
8002번 | 대성리 - 마석역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8012번 | 광릉내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성남시 | 3330번 | 도촌동 | 안양역 | |
9300번 | 도촌동 | 서울역 | ||
4500번 | 사송동차고지 | 수원터미널 | ||
수원시 | 3008번 | 권선동 | 신논현역 | |
G5100번 | 수원 경희대 | 강남역 | ||
7770번 | 수원역 | 사당역 | ||
7780번 | 웃거리 | 사당역 | ||
7800번 | 호매실지구 | 사당역 | ||
시흥시 | 3200번 | 포동차고지 | 서초역 1번 출구 | |
3300번 | 능곡공영차고지 | 강남역.역삼세무서 | ||
3400번 | 한국산업기술대.시흥터미널 | 강남역.역삼세무서 | ||
안산시 | 300번 | 중앙역 앞 | 대부해양본부 | 공휴일 운행 |
5609번 | 그랑시티자이정문 | 여의도환승센터 (2번 승강장) | ||
양주시 | G1300번 | 덕정역 - 옥정, 고읍지구 - 의정부 민락BRT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용인시 | 5000번 | 명지대학교 - 동백지구 | 서울역 | |
5001번 | 명지대학교 - 기흥역 | 강남역 | ||
5002번 | 명지대학교 - 에버랜드 | 강남역 | ||
5003번 | 명지대학교 - 동백지구 | 강남역 | ||
5006번 | 광교차고지 | 강남역 | ||
5500-1번 | 광교차고지 | 서울역 | ||
오산시 | 1311번 | 오산대 | 강남역 | |
5300번 | 오산역 | 강남역 | ||
의정부시 | G6000번 | 신동아파밀리에 - 산들마을2단지 - 민락2지구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G6100번 | 경기도청 북부청사 - 민락2지구 - 고산지구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파주시 | 2200번 | 맥금동 | 홍대입구 | |
G7111번 | 교하동 | 서울역 | ||
7300번 |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 홍대입구 | ||
7500번 | 운정신도시 | 마장호수 | 공휴일 운행 | |
7700번/7701번 | 금촌역 | 감악산 | 공휴일 운행 | |
9030번 | 교하동 | 영등포역 | ||
9710-1번 | 문산 | 서울역 | ||
G7426번 | 파주운정 | 강남역 | ||
포천시 | 3100번 | 대진대학교 - 의정부 | 양재역 | |
3006번 | 경복대학교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하남시 | 9302번 | BRT환승센터 - 미사강변동로 | 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3000번 | 미사강변호반써밋 - 야탑역 | 금토천교(판교) | ||
화성시 | 3102번 | 새솔고등학교 | 강남역 | |
4403번 | 동탄1신도시 | 신논현역 | ||
4108번 | 동탄신도시 | 서울역 | ||
6001번 | 동탄2신도시 | 강남역 | ||
6002번 | 동탄2신도시 | 신논현역 | ||
6003번 | 동탄2신도시 | 판교역 | ||
8155번 | 향남터미널 | 사당역 |
지역이나 노선별로 상이하지만,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처럼 차내에 음식물 반입이 금지된 노선도 있고, 반대로 음식물 반입을 하더라도 승차를 허용하는 노선도 있다. 음식물 반입이 금지된 노선의 경우, 차내에 픽토그램과 함께 '음식물 반입금지'라고 쓰인 스티커가 붙어있다.
6. G BUS TV
기존 좌석 뒷면에 부착되던 스티커형 광고의 낮은 효과를 개선하고 승객의 지루함을 덜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2012년 1월부터 설치된 TV 형태의 광고판이다. 주로 해당 버스의 노선 번호, 서울/경기도의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 이번 정류장과 다음 정류장 안내, 다음 버스 도착 예정 시간, 화면 하단의 자막 뉴스(경기도 소식 포함) 등이 송출된다. 광고로는 경기도의 정책이나 공익광고, 행사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상 콘텐츠가 제공된다.
6. 1. G BUS TV 광고 콘텐츠 목록 (일부)
- 경기도 지자체 및 정책, 행사 홍보 영상
- 시내버스 에티켓 공익광고 '두유노우? 젠틀버스!'
- SBS 비디오머그: 시사, 정치, 경제, 사회, 연예, 스포츠, 생활 관련 이슈를 짧게 소개하는 SBS의 뉴스 프로그램
- 시사저널e
- 복숭아 오락관: 배우 김시은의 15초~30초 간의 짧은 게임 콘텐츠
- 휴몬 뮤직비디오: 이름 그대로 뮤직비디오. 추천할 뮤직비디오가 없는 경우 결방되기도 한다.
- 해요TV: 다양한 아이돌 스타들의 사생활을 보여주는 리얼리티 콘텐츠. 카카오 TV, 유튜브에서도 송출되었지만 2017년 가을부터는 경기도 시내버스 광고면에서도 송출된다.
- 온라인 화제영상: 유튜브의 재미있는 영상을 송출한다. 모두 원작자 허락을 받아 올리며, 원본 링크가 함께 제공된다.
- 티웨이항공 취항지 소개영상: 티웨이항공의 승무원들이 자사 항공편의 취항지를 소개하는 짧은 영상.
- TV 프로그램 하이라이트 영상: TV에서 방영된 프로그램들의 하이라이트를 짧게 뽑아 보여준다.
- 사물궁이 잡학지식: 잡다한 지식을 소개하는 영상 콘텐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도 송출된다.
- 쉐어하우스: 실생활에서 활용가능한 유용한 팁들을 보여준다.
- 대처법: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일들에 대한 창의적인 대처법을 소개한다. 유튜브 쉐어하우스 채널에서 독립.
- 단편 애니메이션
- * 이얍! 스페이스 정글
- * 스푸키즈
7. 연혁
과거에는 각 시군 별로 도색이나 운임 등이 매우 다양했으나, 2006년 7월 경기도에서 경기버스 브랜드를 최종 확정하면서 하나의 기준으로 통합되었다.[12][13] 도색뿐만 아니라 운임 체계도 이 시기에 통합되었다.[14] 2015년 10월부터는 김포시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2층 버스 도입이 시작되었다.[11] 2020년 말부터 2021년 초 이후에는 새로운 도색이 적용되기 시작했다.
참조
[1]
기사
좌석(광역)버스 환승확대, 대중교통 활성화 이뤄
http://www.acrofan.c[...]
ACROFAN
2009-09-20
[2]
웹사이트
청소년들을 위한 특별한 지원! 경기도 시내버스 더 저렴하게 이용하세요~
http://www.gg.go.kr/[...]
일하는 경기도
2017-05-18
[3]
문서
좌석형 버스 이상은 30km이다.
[4]
URL
http://www.gg.go.kr/[...]
[5]
문서
야탑역을 경유한다.
[6]
문서
2013년 4월 1일에 개시된 노선으로 8409번과 달리 이 노선은 구리시를 경유하지 않는다. 하루 2회.
[7]
문서
구리시를 경유한다.
[8]
문서
의정부시, 부천시를 경유하며 경기도의 시내버스 최장거리 노선이다.
[9]
뉴스
거점정류소만 빠르게 연결‥굿모닝급행버스, 15일 운영개시
http://gnews.gg.go.k[...]
경기도청
2016-10-10
[10]
뉴스
2층버스 국내 첫 광역노선투입…수원역∼사당시범운행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12-08
[11]
뉴스
김포∼서울 '2층 버스' 첫 운행…"출퇴근 혼잡 해결될 것"(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0-22
[12]
웹인용
경기 시내버스 새 브랜드로 탄생!
https://web.archive.[...]
2010-07-31
[13]
뉴스
경기도 버스 통합 브랜드 도색 추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9-11
[14]
문서
다만 일부 지자체의 경우 마을버스에 한하여 사용하게 될 자체 도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